기타/Computer Science 3

[네트워크] 네트워크 기초 정리2

SSR (Server Side Rendering) - 웹 페이지를 서버에서 렌더링함 - 순서 1. 브라우저가 서버의 URI로 GET 요청을 보냄 2. 서버는 정해진 웹 페이지 파일을 브라우저로 전송 ** 서버에서 웹 페이지를 완전히 렌더링 한 다음 브라우저로 보냄 3. 서버의 웹 페이지가 브라우저에 도착하면 완전히 렌더링 됨 - 웹 페이지의 내용에 DB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1. 서버는 DB의 데이터를 불러옴 2. 웹 페이지를 완전히 렌더링된 페이지로 변환 3. 브라우저에 응답으로 보냄 - 브라우저의 다른 경로로 이동할 때마다 서버는 이 작업을 다시 수행함 CSR (Client Side Rendering) - 클라이언트에서 웹 페이지를 렌더링 함 ** 대표적인 클라이언트 : 브라우저 - 일반적으로 SSR..

[네트워크] HTTP

HTTP (HyperText Transfer Protocol) - HTML과 같은 문서를 전송하기 위한 응용계층 (Application Layer) 프로토콜 -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의 소통을 위해 디자인됨 - 전통적인 클라이언트 - 서버 모델 → 클라이언트 : HTTP Messages 양식에 맞춰 요청 보냄 → 서버 : HTTP Messages 양식에 맞춰 응답함 - 특정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특징이 있음 ⇒ Stateless (무 상태성) ** Stateless (무 상태성) - 서버가 이전 요청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 - 클라이언트가 http를 사용해 서버에 요청 보냄 -> 서버 요청 처리 후 응답 보냄 →응답 전송 후, 서버는 요청에 대한 정보를 잊고 다음 요청 처리함 →클라이..

[네트워크] 네트워크 기초 정리

클라이언트-서버 아키텍처 프로토콜 (Protocol) - 컴퓨터나 기기들이 서로 통신하기 위해 지켜야할 규칙과 규약의 집합 -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표준화된 방식 제공 → 통신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줄일 수 있음 - 서로 다른 시스템 간에 상호작용이 필요한 모든 분야에서 사용됨 예시 ) ** IP (Internet Protocol) -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 - 데이터를 나누고 주소를 부여하는 등의 규칙을 정의함 ** SMTP (Simple Mail Transfer Protocol) - 메일을 보내고 받기위한 표준화된 방식을 제공 HTTP (Hyper-Text Transfer Protocol) - 인터넷에서 웹 페이지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..